유산소운동 노화를 늦추게 한다
건강을 유지하는데 근력운동, 유산소 운동 모두가 중요하다. 근력운동과 유산소운동을 잘 배합하여 몸과 맞게 적당하게 운동것 좋은 것 사실이다.
그런데, 노화를 늦추는 데는 있어서는 근력운동보다 유산소 운동이 더 도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잘 설명한
유럽 심장 저널‘(European Heart Journal)’에 게재되었던 것을 살펴봅시다.
노화세포에 미치는 영향
독일 라이프치히대 울리히 라이프스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세 가지 유형의 운동이 우리 몸의 노화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연구팀은 젊고 건강하지만 이전에 활동적이지 않았던 성인 266명을 대상으로 6개월 동안
1. 지구력 강화 운동(달리기)
2. 고강도 운동(고강도 운동과 저강도 운동 반복하는 인터벌 운동)
3.. 저항 운동(기구를 이용한 근력 운동)
일주일에 3번, 45분씩 하게 했으며 총 124명이 연구를 완료했다. 연구팀은 참가자의 백혈구의 텔로미어 길이와 텔로미어 활성을 관찰했다. 텔로미어란 모든 세포 속에 들어있는 염색체의 말단 부분으로 나이가 들수록 짧아진다. 텔로미어가 다 닳으면 세포가 죽게 되는 것으로, 텔로미어가 짧아지면서 우리 몸의 노화도 함께 진행된다
. 텔로미어가 짧아질 때는 여러 단백질이 관여하는데, 그중 '텔로 머 레이스'라는 효소는 텔로미어가 짧아지는 과정을 방해한다.
연구결과
지구력 강화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받은 참가자에서 텔로미어 길이가 증가했다. 텔로 머 레이스의 활성은 2~3배 증가했다.
반면 저항 운동은 이러한 효과가 없었다. 텔로미어 길이가 길고 텔로머레이스 활성이 증가하는 것은 건강한 노화와 관련된다는 연구 결과는 이미 나와 있다.
연구팀은 지구력 강화 운동과 고강도 운동이 텔로미어 길이와 텔로머레이스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유를 혈관의 산화질소 수준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설명했다.
산화질소는 혈관 운동신경을 조절하며, 혈관 감염을 막고, 혈관을 확장시켜 혈류를 개선한다고 알려졌다.
결론
백혈구 텔로미어가 근력운동으로 다 닳으면 세포가 죽게 되는데 텔로미어가 짧아지면서 몸의 노화가 시작된다. 그러므로 가격한 근력운동보다 유산소 운동이 노화를 더디 한다는 것이다.